2차전지 국제특허 日本(일본)의 5분의 1 수준에 그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5:46
본문
Download : 111121111106_.jpg
레포트 > 기타
국제특허출원이란 특허 절차를 간소화하기 위한 제도로 특허협력조약(PCT)에 따라 한 번 출원된 특허는 회원국 내 동시 출원한 것과 같은 효율가 주어진다. 삼성SDI는 국제특허제도를 이용하기보다 미국, Japan, 유럽에 직접 특허를 출원해 이 집계에는 거의 포함돼 있지 않다.
Download : 111121111106_.jpg( 69 )
2차전지 국제특허 日本(일본)의 5분의 1 수준에 그쳐
독일과 china(중국) 도 2차전지 특허분야에서 복병으로 부상했다.설명
우리나라는 세계 4위였지만 Japan 국제특허출원 수 대비 5분의 1, 미국과는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2차전지 국제특허 일본의 5분의 1 수준에 그쳐
analysis(분석) 을 맡은 한국특허정보원 채방실 선임연구원은 “china(중국) 과 독일의 세계시장 확보 노력이 주목된다”며 “BYD와 보쉬, 리텍 등이 집중적으로 특허 활동을 펴고 있다”고 전했다.
한국특허정보원(원장 표재호)이 지난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출원된 2차전지 분야 국제특허를 analysis(분석) 한 결과 Japan이 2869건으로 전체의 43%를 차지했다고 20일 밝혔다.
순서
특허로서 최종 효력을 얻기 위해선 각 나라마다 별도의 등록 과정을 밟아야 하지만 국제특허출원은 특허 활동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이어 미국 1486건(22%), 독일 627건(9%), 한국 522건(8%), china(중국) 243건(4%) 순으로 파악됐다. china(중국) 은 누적 출원 건수가 많지 않지만 2006년부터 늘고 있다 독일도 2008~2010년 사이에 국제특허출원 건수가 크게 증가했다.
2차전지 국제특허 日本(일본)의 5분의 1 수준에 그쳐





다.
윤건일기자 benyun@etnews.com
2차전지 분야에서 Japan과 미국의 국제특허출원수가 우리나라를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2차전지 국제특허 일본의 5분의 1 수준에 그쳐
우리나라에선 국제특허 60% 이상을 LG화학에서 출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