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 해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05:35
본문
Download : 판소리 해설.hwp
소리의 경우에는 반드시 장단이나 조의 구성이 달라지므로, 진양+계면조(界面調), 중모리... , 판소리 해설기타레포트 ,
판소리에는 소리(唱)·아니리(白)·발림(科)이 연출된다된다. 소리의 경우에는 반드시 장단이나 조의 구성이 달라지므로, 진양+계면조(界面調), 중모리+경드름 등과 같이 장단과 조의 조합을 구간(區間)으로 하여 여기에 나타난 사설의 극적 상황을 살펴서 그 유형을 가려내고자 한다.
예2) 심청가 중 가군 의 손길잡고 -- 심청 모가 심봉사에게 애통히 유언한다.
예1) 춘향가 중 와락 뛰어 일어서더니-- 춘향 가 이몽룡이 이별한다는 말을 듣고 어안이 벙벙하고 기가 막혀 울며 이몽룡에게 호소한다.
설명
판소리에는 소리(唱)·아니리(白)·발림(科)이 연출된다 소리의 경우에는 반드시 장단이나 조의 구성이 달라지므로, 진양+계면조(界面調), 중모리...
판소리 해설
순서
,기타,레포트
Download : 판소리 해설.hwp( 53 )
판소리에는 소리(唱)·아니리(白)·발림(科)이 연출된다.
판소리에 쓰이는 장단에는 느린 진양·평 진양·세마치 진양·느린 중모리·평중모리·자진중모리·느린 중중모리·평 중중모리·휘 중모리(단중모리)·느진자진모리 평자진모리·휘모리·단모리·느진 엇모리·자진 엇모리·엇 중모리가 쓰이는데 느진 진양· 평진양·세마치는 진양으로, 느진중모리·평중모리·자진 중모리는 중모리로, 느진중중모리·평중중모리·휘중모리는 중중모리로, 느진자진모리·평자진모리·자진모리는 자진 모리로, 휘모리·단모리는 휘모리로, 느진엇모리·자진엇모리는 엇모리로 한데 묶어 함께 다룰 수 있다
판소리에는 羽調·평조·계면조·평계면조·경드름·추천목·설렁제·석화제· 강산제·메나리조 와 같은 조가 쓰이는데 우조·평조·석화제·강산제는 우평조로, 계면조 평계면조는 평 계면조로 함께 다를 수 있다
가. 진양+界面調
진양 장단에 계면조가 조합된 대목에는 悲哀에 잠겨 애절히 탄식하거나 슬픈 사연을 간절히 호소하거나 비장 혹은 비참한 정경이 벌어지며 그 밖의 전라도 향토조의 노동요가 나타나기도 한다.
나. 진양+羽平調
진양 장단에 우평조로 된 대목에는 영웅적인 인물이 유유히 그의 雄志를 술회하거나 영웅적인 인물의 호탕한 거동, 신비한 인물의 엄숙한 거동이 유유히 具現 되거나 …(drop)
레포트/기타






다.
예3) 흥보가 중 엇따 이놈아, 야 이놈아 말 듣거라----흥보 큰자식이 장가 보내 달라고 조르니 흥보 마누라는 가난한 신세를 탄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