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가 한반도 남부에서 스타트되었다고 보는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21:57
본문
Download : [인문]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가 한반도 남부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이유.hwp
그런데 구개음화를 어떻게 定義(정의)하느냐에 따라, 구개음화의 개념은 광의의 것이 될 수 있고 협의의 것이 될 수도 있다. 중앙어는 18세기에 들어서서 ‘ㄷ’ 구개음화의 예가 다수 발견되므로 문헌자료의 간행 시기만을 고려하더라도 ‘ㄷ’ 구개음화는 남부방언에서 점차 북상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인문]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가 한반도 남부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이유-1131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A%B7%BC%EB%8C%80%EA%B5%AD%EC%96%B4%EC%9D%98%20%ED%8A%B9%EC%A7%95%EC%9D%B8%20%EA%B5%AC%EA%B0%9C%EC%9D%8C%ED%99%94%EA%B0%80%20%ED%95%9C%EB%B0%98%EB%8F%84%20%EB%82%A8%EB%B6%80%EC%97%90%EC%84%9C%20%EC%8B%9C%EC%9E%91%EB%90%98%EC%97%88%EB%8B%A4%EA%B3%A0%20%EB%B3%B4%EB%8A%94%20%EC%9D%B4%EC%9C%A0-1131_01.gif)
![[인문]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가 한반도 남부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이유-1131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A%B7%BC%EB%8C%80%EA%B5%AD%EC%96%B4%EC%9D%98%20%ED%8A%B9%EC%A7%95%EC%9D%B8%20%EA%B5%AC%EA%B0%9C%EC%9D%8C%ED%99%94%EA%B0%80%20%ED%95%9C%EB%B0%98%EB%8F%84%20%EB%82%A8%EB%B6%80%EC%97%90%EC%84%9C%20%EC%8B%9C%EC%9E%91%EB%90%98%EC%97%88%EB%8B%A4%EA%B3%A0%20%EB%B3%B4%EB%8A%94%20%EC%9D%B4%EC%9C%A0-1131_02_.gif)
![[인문]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가 한반도 남부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이유-1131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A%B7%BC%EB%8C%80%EA%B5%AD%EC%96%B4%EC%9D%98%20%ED%8A%B9%EC%A7%95%EC%9D%B8%20%EA%B5%AC%EA%B0%9C%EC%9D%8C%ED%99%94%EA%B0%80%20%ED%95%9C%EB%B0%98%EB%8F%84%20%EB%82%A8%EB%B6%80%EC%97%90%EC%84%9C%20%EC%8B%9C%EC%9E%91%EB%90%98%EC%97%88%EB%8B%A4%EA%B3%A0%20%EB%B3%B4%EB%8A%94%20%EC%9D%B4%EC%9C%A0-1131_03_.gif)


설명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가 한반도 남부에서 스타트되었다고 보는 이유 요약...
[인문]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가 한반도 남부에서 스타트되었다고 보는 이유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가 한반도 남부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이유 요약...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가 한반도 남부에서 처음 되었다고 보는 이유 요약 구개음화 현상은 동남방언에서 먼저 발생하여 점차 북상하여 중부방언에까지 확산하였다. 홍윤표(1985)에서는 중앙어의 ‘ ’ 구개음화 현상이 15세기 말부터 출현한다고 하였다. 송민(1985)에서는 ‘ ’ 구개음화 현상이 16세기 말부터 우발적으로 처음 되었다고 하였다. Bhat에 의하면, 구개음화란 “비경구개음이 i나 y로 대표되는 구개적 environment에서 경구개음으로 變化하는 일련의 동화 현상”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은 구개음화가 남부지역에서 중부지역으로 시간차를 두고 전파되었음을 입증하고 있다. 이명규(1974)는 구개음화 현상을 보이는 어휘의 출현 빈도를 조사하여, 남부 방언에서는 16세기 중엽에, 중부 방언에서는 17세기 초에 구개음화 현상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전라도에서 간행된 문헌은 이미 16세기부터 ‘ㄷ’ 구개음화 예를 보여준다. 과제(problem) 내용 구개음화는 세계적으로도 광범위한 분포를 보이고 있을 뿐 아니라 그 나타나는 양상 또한 다양하여, 많은 주목을 받아 온 음운 현상 중의 하나이다. 이명규(2000)는 ‘ㄷ’ 구개음화의 문헌 출현 시기는 16세기 중엽이며 16세기 초의 한두 의문점을 안은 예를 제외하면 남부지역에서는 16세기 중엽을 지나 불경류 문헌의 한자어에서 확인된다고 하였다. 김영배(1986 17)에서는 구개음화를 “ , 에 이어 나는 i 모음이나 반모음 j 의 연결에 있어서 i,j...
순서
인문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가 한반도 남부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이유
Download : [인문] 근대국어의 특징인 구개음화가 한반도 남부에서 시작되었다고 보는 이유.hwp( 95 )
다. 김주필(1985)은 18세기 이전에는 중앙어에서 구개음화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논의하고 있다. 현재 ‘ㄷ’ 구개음화를 겪지 않았거나 變化가 진행 중인 방언은 평안방언과 육진방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