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iginal]전자회로 - [bjt]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원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5 06:27
본문
Download : 전자회로 - [bjt]바이폴라 트랜지.hwp
일반적으로 B-C 접합의 단면적이 B-E 접합보다 크기 때문에 저항값은 작게 나온다.
2 채널 오실로스코프
저항 : 100Ω(1), 1㏀(1), 10㏀(4), 100㏀(1), 10㏀가변저항(1)
2. test(실험) 목표(目標)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特性 이해
3. 부품과 test(실험) 장치
• 저항계를 사용한 바이폴라 transistor(트랜지스터) 의 단자 확인
설명
저항에서의 전압강하를 측정(measurement)하여 간접적으로 전류를 구할 예정이므로, 정확한 전류 계산을 위해서 사용 전에 저항값을 측정(measurement)해 놓기 바람
전자회로,bjt,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원리
DVM
트랜지스터 : 2N2222 npn 또는 2N3904 npn 2개
Download : 전자회로 - [bjt]바이폴라 트랜지.hwp( 89 )
• 實驗(실험)장치 - 정확한 實驗(실험)결과를 위해 사용할 저항의 값을 미리 측정(測定) 하라.
순서
• 이제 transistor(트랜지스터) 를 옴미터로 측정(測定) 하여 transistor(트랜지스터) 의 타입(npn vs pnp)과 각각의 핀들을 확인하여라. 양쪽의 극성에 대해 컬렉터와 에미터 사이의 저항 값은 무한대라는 것을 주목하고 측정(測定) 을 해 보도록 한다. B-E와 B-C는 저항값의 크기로 구분 가능하다. PN 다이오드에서 띠가 둘러진 쪽이 음극(n type, cathode)에 해당됨을 상기하라. B-E 접합과 B-C 접합은 저항계를 순방향으로 연결시 유한한 저항값을 보이는 반면, 역으로 연결하거나 E-C사이를 측정(測定) 하면 저항값이 거의 무한대로 나올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이용하면 저항계로 바이폴라 transistor(트랜지스터) 의 타입과 단자를 확인할 수 있따
다. 필요한 경우에, 반도체를 판단하는데 옴미터를 사용할 수도 있따
![전자회로 - [bjt]바이폴라 트랜지-414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EC%A0%84%EC%9E%90%ED%9A%8C%EB%A1%9C%20-%20%5Bbjt%5D%EB%B0%94%EC%9D%B4%ED%8F%B4%EB%9D%BC%20%ED%8A%B8%EB%9E%9C%EC%A7%80-4144_01.jpg)
![전자회로 - [bjt]바이폴라 트랜지-414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EC%A0%84%EC%9E%90%ED%9A%8C%EB%A1%9C%20-%20%5Bbjt%5D%EB%B0%94%EC%9D%B4%ED%8F%B4%EB%9D%BC%20%ED%8A%B8%EB%9E%9C%EC%A7%80-4144_02_.jpg)
![전자회로 - [bjt]바이폴라 트랜지-4144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EC%A0%84%EC%9E%90%ED%9A%8C%EB%A1%9C%20-%20%5Bbjt%5D%EB%B0%94%EC%9D%B4%ED%8F%B4%EB%9D%BC%20%ED%8A%B8%EB%9E%9C%EC%A7%80-4144_03_.jpg)
![전자회로 - [bjt]바이폴라 트랜지-4144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EC%A0%84%EC%9E%90%ED%9A%8C%EB%A1%9C%20-%20%5Bbjt%5D%EB%B0%94%EC%9D%B4%ED%8F%B4%EB%9D%BC%20%ED%8A%B8%EB%9E%9C%EC%A7%80-4144_04_.jpg)
![전자회로 - [bjt]바이폴라 트랜지-4144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EC%A0%84%EC%9E%90%ED%9A%8C%EB%A1%9C%20-%20%5Bbjt%5D%EB%B0%94%EC%9D%B4%ED%8F%B4%EB%9D%BC%20%ED%8A%B8%EB%9E%9C%EC%A7%80-4144_05_.jpg)
0.7V보다 큰 내부 전압원을 갖는 저항계를 이용하면 transistor(트랜지스터) 의 단자를 확인할 수 있따 저항계는 극성을 갖고 있으므로 일단 다이오드에 적용하여 저항계의 극성을 확인하는 것이 좋다. 전원장치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E1.1 디바이스 전류의 안정화(npn)
1. test(실험) 주제
전자회로 - [bjt]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원리
1. 실험주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원리 2. 실험 목표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특성 이해 3. 부품과 실험장치 트랜지스터 : 2N2222 npn 또는 2N3904 npn 2개 저항 : 100Ω(1), 1㏀(1), 10㏀(4), 100㏀(1), 10㏀가변저항(1) DVM 전원장치 2 채널 오실로스코프 파형 발생기 저항에서의 전압강하를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전류를 구할 예정이므로, 정확한 전류 계산을 위해서 사용 전에 저항값을 측정해 놓기 바람
파형 발생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원리
• goal(목표) : 결과 적이면서 간단한 biasing을 實驗(실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