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러티브를 활용한 역싸수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21:00
본문
Download : 내러티브를 활용한 역사수업.hwp
a personal narrative 신상 이야기
narration 위의 것들을 이야기하는 동작을 주로 가리키며 특히 그 요점 방법이나 이야기하는 방법에 중점이 있는 말이다:
during the narration of one`s adventures 모험담을 하고 있는 동안에
3 설화, 화술
내러티브는 교과 또는 학문적 전통과 관계없이 이야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구조, 지식, 기술과 관련된 것으로, 하나 혹은 일련의 사건을 글이나 말의 형태로 전달하는 것, 또는 그러한 글이나 말을 의미한다.내러티브를활용한역사수업 , 내러티브를 활용한 역사수업사범교육레포트 ,
Download : 내러티브를 활용한 역사수업.hwp( 89 )
설명
,사범교육,레포트
순서
내러티브를 이용한 역싸수업의 형식과 방법, 원리에 대해서 정리(整理) 하였습니다..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요소는 전달의 대상인 ‘사건’과 전달 방식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사건’은 이야기(story)로서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사건, 인물, 環境 등을 포함하며 전달 방식인 ‘담론’은 이야기를 말하고, 표현하거나 내레이션 하는 행위를 말한다. 토폴스키(J.Topolski)는 歷史(역사)서술의 형식은 ‘연보’에서 ‘연대기’로, 다시 ‘歷史(역사)적 내러티브`로 발전하였다고 본다.
내러티브를 활용한 역싸수업
Ⅰ.들어가며
-내러티브의 정의(定義)
Ⅱ.내러티브 歷史(역사)학의 재등장배경과 特性
Ⅲ. 내러티브식 歷史(역사)수업의 유용성과 문제점(問題點)
Ⅳ. 내러티브식 歷史(역사)수업의 형식
Ⅴ. 歷史(역사)수업에서 내러티브의 기능
Ⅵ. 내러티브 구성의 기본원리
Ⅶ. 나오며
Ⅰ.들어가며
-내러티브(Narrative)의 정의(定義)
내러티브란 무엇일까? 단어 그대로의 뜻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실제…(skip)






내러티브를활용한역싸수업
다.
그러나 歷史(역사)학에서 내러티브의 정의(定義) 은 좀더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우선 넓은 의미에서 歷史(역사)적 내러티브는 歷史(역사)서술 전반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연보는 가장 원시적인 형태로서 기록자의 생각과 당대의 사고방식으로 보아 중요하다고 느꼈던 사살들을 연대순으로 단순하게 기록하는 것이고, 연대기는 과거에서 未來로의 시간 연속성을 보이며, 여기에 묘사되는 사건들은 선행 사건의 필연적인 결과로 여겨지게 된다된다.
narrative [nǽrtiv]
n.
1 이야기(story)
2 이야기체의 문학
narrative 이야기∙사건의 전말∙경험담 등을 흥미 있게 요점하여 이야기하는 것을 말한다. 歷史(역사)적 내러티브는 시간적 관점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으로 토폴스키는 이를 ‘엄밀한 의미의 歷史(역사)’라 말한다.
레포트/사범교육
내러티브를 이용한 역사수업의 형식과 방법, 원리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