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와 근대국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5 11:27
본문
Download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hwp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중세국어와근대국어
순서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중세국어와근대국어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hwp( 14 )
Ⅰ. 중세국어
1. 훈민정음의 제자원리
(1) 초성의 제자원리
훈민정음의 초성 17자는 주요 조음부위별로 아·설·순·치·후 의 오음체계를 구성하고, 각 음은 조음기관의 형상 및 그 움직임을 모상하여 제자하여 하나의 기본자를 설정하고 있다아(발음기관의 상형)
七音
淸濁아음설음순음치음후음반설음반치음全淸(평음)ㄱㄷㅂㅅ ㅈᅙ次淸(유기음)ㅋㅌㅍ ㅊㅎ全濁(경음)ㄲㄸㅃㅆ ㅉ不淸不濁(유성자음)ㄴㅁㅇㄹ
五音기본자제자의 원리아음(牙音)ㄱ象舌根閉喉之形(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뜸)설음(舌音)ㄴ象舌附上諤之形(혀가 입천장에 닿는 모양을 본뜸)순음(脣音)ㅁ象口形(입 모양을 본뜸)치음(齒音)ㅅ象齒形(이 모양을 본뜸)후음(喉音)ㅇ象喉形(목구멍 모양을 본뜸)五音기본자가획자이체자(異體字)아ㄱㅋ설ㄴㄷ ㅌㄹ순ㅁㅂ ㅍ치ㅅㅈ ㅊ후ㅇᅙ ㅎ
◦전탁의 ‘ㄲ,ㄸ,ㅃ,ㅆ,ㅉ,’의 병서자가 17초성체계에서 제외→제자원리…(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