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_experiment(실험)[재료 역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3:02
본문
Download : 현미경_실험[재료 역학].hwp
각종 재료의 성질, 특히 기계적 성질은 재료의 미세조직(microstructure)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즉 재료의 미세조직을 보면 그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현미경_실험[재료 역학]-2214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ED%98%84%EB%AF%B8%EA%B2%BD_%EC%8B%A4%ED%97%98%5B%EC%9E%AC%EB%A3%8C%20%EC%97%AD%ED%95%99%5D-2214_01.gif)
![현미경_실험[재료 역학]-2214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ED%98%84%EB%AF%B8%EA%B2%BD_%EC%8B%A4%ED%97%98%5B%EC%9E%AC%EB%A3%8C%20%EC%97%AD%ED%95%99%5D-2214_02_.gif)
![현미경_실험[재료 역학]-2214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ED%98%84%EB%AF%B8%EA%B2%BD_%EC%8B%A4%ED%97%98%5B%EC%9E%AC%EB%A3%8C%20%EC%97%AD%ED%95%99%5D-2214_03_.gif)
![현미경_실험[재료 역학]-2214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ED%98%84%EB%AF%B8%EA%B2%BD_%EC%8B%A4%ED%97%98%5B%EC%9E%AC%EB%A3%8C%20%EC%97%AD%ED%95%99%5D-2214_04_.gif)
![현미경_실험[재료 역학]-2214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205/%ED%98%84%EB%AF%B8%EA%B2%BD_%EC%8B%A4%ED%97%98%5B%EC%9E%AC%EB%A3%8C%20%EC%97%AD%ED%95%99%5D-2214_05_.gif)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2) 탄소강
공석온도 이하로 온도가 하락하면 오스테나이트는 알파(α)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혼합조직으로 변태하여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가 교대로 반복된 층상조직을 형성하는데 그 형태가 진주와 비슷하기 때문에 펄라이트라고 부른다. 또한 상온 및 고온에서 가공성이 좋고, 탄소함유량에 따라서 성질變化(변화)가 현저하며, 특히 여러 가지 열처리방법에 의해서 기계적 성질을 다양하게 變化(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長點)이 있기 때문에 그 용도가 매우 광범위한 재료이다.
현미경_experiment(실험)[재료 역학]
1)공석강
고순도의 철은 연하기 때문에 기계나 건축물의 구조재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런한 탄소강은 비교적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며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므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철강재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순서
현미경실험,현미경
0.8% 공석강을 750℃로 가열하여 충분한 시간동안 유지하면 조직이 균일한 단상의 오스테나이트가 되는데 이 과정을 오스테나이트화라고 한다. Fe 99.90% 이상의 순도를 가진 철을 순철이라고 하며, 순철은 전기재료나 연구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나 기계재료로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재료의 미세조직의 관찰은 재료 시험의 가장 기본적 시험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1) 순철
설명
순철에는 제조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다. 여기에 강도를 주기 위해 탄소를 첨가한다. 즉 재료의 미세조직을 보면 그 재료의 기계적 특성(特性)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재료의 미세조직의 observation은 재료 시험의 가장 기본적 시험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Download : 현미경_실험[재료 역학].hwp( 94 )
다. 결국 철강의 성질은 0.01~0.7%정도 함유되어 있는 탄소의 양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데 탄소의 양이 적을수록 연하고 늘어나기 쉬우며 탄소량이 증가할수록 경도와 강도는 증가하지만 탄성력과 신장률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각종 재료의 성질, 특히 기계적 성질은 재료의 미세조직(microstructure)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0.8% 탄소를 함유하는 조성의 탄소강이 723℃ 이하로 냉각될 때 오스테나이트가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로 분해되는 공석reaction(반응)이 일어나므로 공석강이라고 하며, 이러한 공석reaction(반응)에 의한 변태를 공석변태, 펄라이트변태, 또는 공석온도(A1)를 따서 A1변태라고도 부른다.